선운사
도솔산은 선운산(禪雲山)이라고도 하며,
조선 후기 선운사가 번창할 무렵에는
89개의 암자와 189개에 이르는 요사(寮舍)가 산중 곳곳에 흩어져 있어
장엄한 불국토를 이루기도 하였다.
도솔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선운사는
김제의 금산사(金山寺)와 함께
전라북도의 2대 본사로서 오랜 역사와 빼어난 자연경관,
소중한 불교문화재들을 지니고 있어
사시사철 참배와 관광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특히 눈 내리는 한겨울에 붉은 꽃송이를 피워내는 선운사 동백꽃의 고아한 자태는
시인ㆍ묵객들의 예찬과 함께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선운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신라 진흥왕이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위덕왕 24년(577)에 고승 검단(檢旦, 黔丹)선사가 창건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하고 있다.
첫 번째 설은 신라의 진흥왕(재위기간 540∼576)이 만년에 왕위를 내주고
도솔산의 어느 굴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이때 미륵 삼존불이 바위를 가르고 나오는 꿈을 꾸고 크게 감응하여 중애사(重愛寺)를 창건함으로써
이 절의 시초를 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이곳은 신라와 세력다툼이 치열했던 백제의 영토였기 때문에
신라의 왕이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였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따라서 시대적ㆍ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검단선사의 창건설이 정설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검단스님의 창건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본래 선운사의 자리는 용이 살던 큰 못이었는데
검단스님이 이 용을 몰아내고 돌을 던져 연못을 메워나가던 무렵,
마을에 눈병이 심하게 돌았다.
그런데 못에 숯을 한 가마씩 갖다 부으면 눈병이 씻은 듯이 낫곤 하여,
이를 신이하게 여긴 마을사람들이 너도나도 숯과 돌을 가져옴으로써 큰 못은 금방 메워지게 되었다.
이 자리에 절을 세우니 바로 선운사의 창건이다.
검단스님은 "오묘한 지혜의 경계인 구름[雲]에 머무르면서 갈고 닦아 선정[禪]의 경지를 얻는다" 하여
절 이름을 '禪雲'이라 지었다고 전한다.
또한 이 지역에는 도적이 많았는데,
검단스님이 불법(佛法)으로 이들을 선량하게 교화시켜 소금을 구워서 살아갈 수 있는 방도를 가르쳐주었다.
마을사람들은 스님의 은덕에 보답하기 위해 해마다 봄ㆍ가을이면 절에 소금을 갖다 바치면서
이를 '보은염(報恩鹽)'이라 불렀으며,
자신들이 사는 마을이름도 '검단리'라 하였다.
선운사가 위치한 곳이 해안과 그리 멀지 않고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곳에서 염전을 일구었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보아,
염전을 일구어 인근의 재력이 확보되었던 배경 등으로 미루어
검단스님이 사찰을 창건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학원농장
전 국무총리 진의종과 부인 이학이
1960년대 초반 고창군의 광활한 미개발 야산 약 33만여 ㎡를 개간하여
학원농장으로 조성하였다.
1960년대에는 뽕나무를 식재하여 잠업을,
1970년대에는 목초를 재배하여 한우 비육 사업을,
1980년대에는 보리, 수박, 땅콩 등을 재배하며 땅을 일구었다.
1992년 초 설립자의 장남 진영호가 귀농하여 정착하면서 보리와 콩을 대량으로 재배하고,
장미와 카네이션 등 화훼 농업을 병행하면서 관광 농업을 시작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늘어나는 관광객들의 경관 관광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보리 농사를 계속하면서 콩은 메밀로 작물 전환을 하였다.
보리와 메밀이 번갈아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농장 풍경을 인정받아
2004년도 말에는 전국 최초로 학원농장 주변이 경관농업특구로 지정되었다.
경관농업특구에서 경관 농업을 수행하는 데는 각종 혜택과 지원이 따르지만
경관을 해치는 행위는 상당히 까다로운 규제를 받게 된다
. 재정경제부에서 2007년 말 전국 100여 개의 경제특구를 심사하여
‘고창경관농업특구’를 우수 특구로 지정하였으며, 부상으로 1억 원이 수여되었다.
총면적은 약 33만여 ㎡로, 청보리밭과 메밀꽃밭, 백민기념관이 있다.
이 밖에 보리와 메일 관련 음식을 제공하는 학원농장 직영 식당과
잔디 축구장과 정자, 산책로, 화훼용 유리 온실, 묘목장, 각종 과수 단지, 민박 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어
관광과 축제를 즐기기에 알맞다.
'우리나라 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방사, 주상절리, 이중섭 거리 (제주도 서귀포시) - 20140928 (0) | 2014.10.01 |
---|---|
애월 한담공원, 협재해수욕장, 생각하는 정원 (제주도 제주시) - 20140928 (0) | 2014.10.01 |
연도(소리도, 전남 여수) - 20140907 (0) | 2014.09.10 |
오동도 (전남 여수) - 20140906 (0) | 2014.09.10 |
죽서루 (강원 삼척 ) -20140531 (0) | 201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