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1년 박해를 피해 온 교우들이 농사를 짓고 옹기를 구워 생활하며 신앙공동체를 이룬 곳
마을이 위치한 계곡이 배[舟] 밑창을 닮았다 하여 배론[舟論]으로 불리운다.
배론성지 입구
배론성지 내 예수님 상
성요셉 신학당
1855년에는 배론 공소회장 장주기(張周基)의 집에 한국 최초의 신학교인 '성 요셉 신학당'이 세워져
교장 푸르티에 신부, 교사 프티 니콜라 신부가 조선인 신학생을 가르쳤다.
성요셉 신학당'은 한문이나 한글뿐 아니라 수사학,철학,신학등도 가르쳤으며 한국 천주교 교육의 요람이 되었으나,
1866년 병인박해 때 푸르티에 신부와 프티 니콜라 신부가 체포되어 순교함으로써 폐쇄되었다.
황사영 백서
1801년 신유박해 때 황사영이 이곳 옹기굴에 8개월 동안 은신하면서 조선 교회의 박해상황과 외국의 도움을 청하는 내용의 백서(帛書)를 작성하여
베이징 주교에게 보내려다 발각되어 순교했다 (원본은 바티칸 박물관에 보관중)
황사영순교자 동상
양업교의 七克 과 七聖祀.
중심을 향한 미로의 기도 ( Le Labyrinthe )
미로의 기도는 고대부터 내려온 종교적 상징을 4세기부터 교회가 채택하여 중세기에 와서 기도형태로 널리 쓰여졌다.
가장 전형적인 미로의 기도 형태는 프랑스 샬트르 대성당 바닥에 새겨진 것이다.
이 미로의 중심은 우주의 중심이신 하느님, 내 마음의 중심이신 그리스도, 나의 참된 모습,이 세가지를 모두 상징하고 있다.
의미 중심을 향해 미로와 같이 오가는 길을 천천히 걸어 들어가면서 우리의 삶이 하느님께로 향하는 거룩한 순례임을 직접 체험하고
몸과 마음으로 걸으면서 내마음 깊숙이 중심에 계신 그리스도를 알아 뵙고 거기서 빛과 힘을 얻은 후에 다시 세상으로 파견되는 것이다.(펌)
미로의 기도 모형
'바다의 별'로 불리는 최양업신부 기념 대성당과 소성당
최양업 신부 동상
최양업 신부의 일대기를 조각해 놓은 공원의 납골당
1861년 최양업 신부가 문경(聞慶)에서 병사하자 푸르티에 신부 일행이 시신을 이곳에 안장했다.
'우리나라 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등 축제 (서울 청계천) - 20101109 (0) | 2010.11.10 |
---|---|
원효사... (서울 도봉산) -20101106 (0) | 2010.11.07 |
장봉도 (경기 인천) -20101030 (0) | 2010.11.02 |
월드컵 공원 (서울) - 20101025 (0) | 2010.10.26 |
시월의 안양천 - 20101024 (0) | 2010.10.26 |